한덕수 총리의 헌법재판관 임명, 합법일까?
2025. 4. 9. 01:45ㆍ사회
2025년 4월 4일,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 판결로 탄핵 파면된 이후,
한덕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습니다.
그리고 그 직후, 한덕수 총리가 헌법재판관을 임명하면서 정치권에 큰 파장이 일었죠.
특히 민주당은 강하게 반발하며 “대통령 권한대행이 과연 그런 임명권까지 행사할 수 있느냐”고 문제를 제기했습니다.
과연, 법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걸까요?
결론부터 말하면, 합법입니다.
✅ 헌법이 보장하는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
헌법 제71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:
“대통령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국무총리, 또는 법률이 정하는 국무위원의 순서로 권한을 대행한다.”
윤 전 대통령은 탄핵으로 직무를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는 상태, 즉 사고 상태로 간주되므로,
대통령의 권한은 자동으로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위임됩니다.
여기에는 인사권도 포함됩니다.
즉, 헌법재판관 임명도 정당한 권한 행사라는 것이죠.
🧑⚖️ 헌법재판관 임명, 원래 누가 하죠?
헌법재판소 재판관 9명은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:
- 대통령 지명: 3명
- 국회 선출: 3명
- 대법원장 지명: 3명
모든 재판관은 대통령이 임명하게 되어 있습니다.
즉, 대통령 권한대행 역시 그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.
⚠️ 그렇다면 왜 논란이?
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,
정치적, 도의적 비판은 존재합니다.
- 대통령이 탄핵되자마자 곧바로 인사권을 행사했다는 점
- 조기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중립성과 정당성에 대한 의문
- 대통령 권한대행은 통상 '최소한의 통치'만 한다는 관행 등
📌 결론
- 한덕수 총리의 헌법재판관 임명은 헌법에 따른 합법적 행위
- 하지만 정치적으로는 민감한 시점에 중대한 결정을 한 것이라 비판이 뒤따름
- 결국, 법과 정치의 온도 차가 만든 충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KT 유심 해킹이 뭔지 그리고 대처 방법 (0) | 2025.04.29 |
---|---|
“한국 대선, 베네수엘라처럼 될까?” 미 폭스 뉴스 (8) | 2025.04.17 |
2025년 4월, 대한민국 조기 대선 돌입! (12) | 2025.04.04 |
🚨 25년4월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! (6) | 2025.04.03 |
이재명 대표, 대장동과 공직선거법 재판 근황 총정리! (2) | 2025.03.26 |